INFORMATION
상호명 : (주)위멘토
사업자등록번호 : 506-87-00931
통신판매업번호 : 제2022-서울강서-1096호
고객센터 : 1800-2142 ∣ 이메일 : sales@wemento.kr
대표자 : 김성진 ∣ 개인정보책임자 :김성진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212(퀸즈파크11), B동 404호
호스팅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212(퀸즈파크11), B동 404호
WEMENTO
2012년 3월 자체 개발한 솔루션으로부터 모바일앱 제작을 시작으로, 2014년 6월 부터는 PC홈페이지와 모바일웹, 어플이 연동되는 시스템을 개발 및 제작해 왔습니다.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6년 1월 반응형웹앱/쇼핑몰웹앱을 출시하여 다양한 업종의 웹사이트를 구축 하였습니다.
특히, 웹사이트에서의 모든 활동은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알림을 주고 받을 수 있게 연동되어야만 한다는 슬로우건 아래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BYULZZI Corp.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byulzzi
네이버페이 주문은 네이버 정책에 따라 강제 배송완료 처리가 불가합니다. 대신 네이버페이 주문은 구매자가 구매확정을 하지 않더라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구매확정 처리됩니다. 다음과 같이 배송추적 가능여부에 따라 구매확정 처리되는 시일이 다르며, 별도로 배송완료 처리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배송추적이 불가능한 경우:
퀵서비스, 방문수령, 직접전달, 화물배송, 배송추적이 불가능한 택배 등으로 발송되어 배송완료를 확인할 수 없는 주문 건은 발송처리일 기준으로 28일째 되는 날 자동구매확정 됩니다.
배송추적이 가능한 경우:
택배사와의 연동을 통해 배송추적이 가능한 주문에 대해 상품을 수령하신 후, 배송완료일로부터 3일 후에 자동 구매확정 대상 건으로 선정되며 구매고객에게 구매확정 요청 안내 메일이 발송됩니다. 구매확정 대상 선정일로부터 5일 이내에 구매확정 연장 또는 클레임 요청이 없는 경우, 5일 후에 자동으로 구매확정 처리됩니다. 즉, 배송완료후 8일째 되는 날 구매확정 됩니다.
구매확정이 연장된 경우:
자동구매확정 예정일로부터 10일 뒤 구매확정 됩니다.
네이버페이센터의 배송현황 관리에서 구매확정 요청한 경우:
구매확정 요청 후 5일째 되는 날 자동 구매확정 됩니다. 구매확정 요청은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 가능합니다.
교환재배송의 경우:
교환재배송 처리한 송장번호가 배송완료된 시점으로부터 8일째 되는 날 자동으로 교환완료(구매확정) 처리됩니다. 이미 배송완료된 송장번호를 시스템에 늦게 입력하는 경우는 재배송 처리한 날 다음날 구매확정 집계되고 이후 5일째 되는 날 자동으로 교환완료 처리됩니다.
내가 방문한 웹사이트에서 만든 파일인 쿠키와 페이지 로드를 빠르게 해 주는 브라우저 캐시가 있으면 인터넷 사용이 편리해 집니다.
브라우저 캐시 및 쿠키를 삭제하면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등 웹사이트 설정이 삭제됩니다. 또한 이미지를 모두 다시 로드해야 하기 때문에 어떤 사이트는 조금 느려진 것 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각 브라우저별 캐시 및 쿠키 삭제 방법은 다음 링크를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캐시 및 쿠키 삭제방법
Google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 페이지 단위로 캐시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모든 웹사이트 설정을 삭제하지 않아도 됩니다.
개인 도메인 연결을 위해 네임서버 변경 후 기존 사용하던 도메인 연동 메일이 수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네임서버가 변경되면서 MX레코드 정보도 변경되었기 때문입니다.
도메인 연동 메일을 사용하려면 아래의 설명을 참고해 MX레코드를 보내주시면 다시 설정해 드립니다.
MX레코드 값을 입력합니다. MX레코드 값은 메일 서비스마다 다릅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예시 입니다.

위 예시 이미지처럼 이용하시고 계신 메일 업체에서 mx레코드 값을 찾아서 저희에게 그대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캡쳐이미지 및 텍스트형식으로 긁어서 보내주시면 확인 후 설정해 드립니다.
자동 SMS(문자) 알림이 정상과금처리 되어 발송되었지만 일부 회원들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인은 통신사별 스팸차단 서비스 때문입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불법스팸대응센터에서 마련한 스팸종합대책으로 인해 각 통신사별로 지능형 스팸차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자 알림을 받을 회원께서 스팸차단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발송된 문자는 회원이 수신하기에 앞서 통신사 스팸보관함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만약 특정 회원으로부터 같은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다음 방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통신사별 차단된 문자 스팸문자 확인 방법
통신사별 사이트 또는 앱을 통해 스팸보관함에서 알림 문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신사별 스팸차단 부가서비스
통신사별 스팸차단 부가서비스를 해지하는 경우 문자 알림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습니다. *통신사 로그인 필요
네이버 검색에 채널 반영은 어떻게 하나요?
사이트 연관 채널이란, 네이버 검색 결과에 내 사이트와 관련된 SNS 채널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네이버 검색의 기능입니다. 하지만 아래에 설명드린 방법을 수행하더라도 네이버 정책에 의해 반영 여부가 결정되므로 반드시 반영된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설정방법
아래와 같은 코드 형식(Microdata)을 참고하여 디자인 모드의 사이트 메인페이지에 코드 위젯을 추가(위치는 무방)후 코드를 입력하고 게시하여 반영합니다.
또는, 환경설정 > SEO,해더설정의 Footer Code 에 해당 사항을 입력합니다.
주의: 아래 코드는 예시일 뿐이며, 사이트 URL과 운영하는 SNS 채널의 종류 및 계정에 따라 수정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위 설정을 수행하더라도 네이버 정책에 의해 반영 여부가 결정되므로 반드시 반영된다고 보장하지 않습니다.
Google 서치 콘솔(Search Console)을 사용해 내 사이트의 검색 트래픽 및 실적을 측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Google 검색결과에서 내 사이트가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검색엔진 Google에 내 사이트를 등록해 더 많은 방문자를 유입 시켜 보세요.
시작에 앞서
이 도움말을 진행하려면 Google 계정이 필요합니다. 아직 Google 계정이 없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계정 만들기를 클릭하여 새로운 계정을 생성해 주세요.
Google 계정 만들기
1단계: 구글 웹마스터 도구 등록하기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속성 유형 선택이 나타나면 URL 접두어 방식에서 내 사이트 URL을 입력하고,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참고: 해당 계정을 통해 한 번이라도 웹사이트를 등록한 경우, 이 과정은 생략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사이트를 추가하려면 왼쪽 상단의 속성 검색을 클릭하고, 속성 추가를 클릭해 주세요.
다른 확인 방법의 HTML 태그를 선택합니다.
메타태그가 나타나면 복사 버튼을 클릭해 복사합니다.
주의: 기존 구글 서치 콘솔 창을 끄지마세요.
공통 코드 삽입 항목의 Meta Code에 위 5번 과정에서 복사한 메타태그를 붙여넣습니다. (단축키: Ctrl + V)
위 5번 항목에서 열어두었던 창으로 돌아가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유권이 확인창이 뜨면, 이제 Google 검색 로봇이 며칠 이내로 내 사이트를 수집하여 검색 결과에 반영하기 시작합니다. 더 효과적으로 페이지를 수집할 수 있게 하려면 속성으로 이동을 클릭해, 아래 2단계를 완료하세요.
(선택사항) 2단계: 사이트맵 제출하기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Google이 내 사이트의 문서를 더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더 많이 검색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
새 사이트맵 추가에서 sitemap.xml 을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내 사이트에 카카오톡 채널 1:1 채팅 버튼(구.플러스친구)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도움말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한 버튼 이미지를 사용해 카카오톡 채널 채팅 버튼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참고: 카카오에서 공식 제공하는 채팅 버튼 이미지를 사용하려는 경우, 카카오톡 채널 1:1 채팅 버튼 추가하기 도움말을 확인해 주세요.
1단계, 카카오 API키 발급 및 적용하기
카카오톡 채널 채팅 버튼을 사용하려면, 카카오 API키가 필요합니다. 아래 도움말 링크를 참고해 카카오 API키를 발급 받고 사이트에 적용해 주세요.
카카오 API키 발급 및 적용방법
참고: 기존 사용 중인 카카오 API키가 있는 경우, 이 과정은 건너 뛰어도 됩니다.
2단계, 카카오톡 채널 홈 ID 알아내기
사용 중인 카카오톡 채널의 홈 ID를 확인하고 메모합니다.
카카오톡채널 관리자센터에 접속합니다.
내 채널을 선택합니다. (채널이 없는 경우 새로운 채널을 생성해 주세요.)
왼쪽의 [관리 > 상세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채널 홈ID를 확인하고 메모장에 메모해 둡니다. (메모해 둔 홈ID는 아래 6단계에서 사용됩니다.)
3단계, 카카오톡 채널 코드 복사하기
아래의 카카오톡 채널 커스텀 채팅 버튼 코드 전체를 복사합니다.
<style> /* PC 카카오톡 채널 버튼 위치 */ .kakaoChatPc { position: fixed; z-index: 999; right: 20px; /* 화면 오른쪽으로부터의 거리, 숫자만 입력 */ bottom: 20px; /* 화면 아래쪽으로부터의 거리, 숫자만 입력 */ }
/* 모바일 카카오톡 채널 버튼 위치 */ .kakaoChatMob { position: fixed; z-index: 999; right: 20px; /* 화면 오른쪽으로부터의 거리, 숫자만 입력 */ bottom: 20px; /* 화면 아래쪽으로부터의 거리, 숫자만 입력 */ }
</style>
<!-- PC 카카오톡 상담 버튼 --> <a href="void kakaoChatStart()" class="kakaoChatPc hidden-md hidden-sm hidden-xs"> <img src="이미지주소" width="72px" height="72px"> </a>
<!-- 모바일 카카오톡 상담 버튼 --> <a href="void kakaoChatStart()" class="kakaoChatMob hidden-lg"> <img src="이미지주소" width="64px" height="64px"> </a>
<!-- 카카오톡 채널 스크립트 --> <script src="//developers.kakao.com/sdk/js/kakao.mi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Kakao.init('JavaScript키'); // 사용할 앱의 JavaScript키를 입력해 주세요. function kakaoChatStart() { Kakao.Channel.chat({ channelPublicId: '홈ID' // 카카오톡 채널 홈 URL에 명시된 ID를 입력합니다. }); } </script>
4단계, SEO 헤더설정 이동 및 코드 붙여넣기
새 브라우저 탭을 열고,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환경설정 > SEO 헤더설정]을 클릭합니다.
페이지 하단의 Footer Code 입력 칸에 위 3단계에서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5단계, Javascript 키 입력하기
붙여넣은 코드의 JavaScript키를 삭제합니다.
위 1단계에서 발급 받은 JavaScript키를 붙여넣습니다.
6단계, 카카오톡 채널 홈 ID 입력하기
코드에서 홈ID를 삭제합니다.
위 2단계에서 메모해 둔 홈ID를 붙여넣습니다.
7단계, 카카오톡 채널 커스텀 상담 버튼 이미지 추가하기
코드에서 이미지주소를 삭제합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 버튼으로 사용할 이미지의 주소(http 또는 https로 시작하는)를 입력합니다. (PC용과 모바일용 버튼 이미지를 함께 쓰거나, 따로따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 채팅 버튼으로 사용할 이미지의 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은 빠른 이미지 주소 획득 방법 도움말을 참고해 주세요.
(선택 사항) width 와 height 속성의 숫자를 변경해, 버튼 이미지의 크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숫자만 변경하세요.)
8단계, 카카오톡 채널 상담 버튼 위치 변경하기
주석을 참고해 PC와 모바일 카카오톡 채널 버튼 이미지의 위치를 각각 수정합니다.
저장 버튼을 클릭해 적용합니다.
9단계, 톡 상담 정상 작동 확인하기
관리자 페이지 왼쪽 상단의 미리보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상담하기 버튼을 클릭해 작동여부를 확인합니다.
참고: 스마트폰으로 내 사이트에 접속해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추가 도움말: 관리자 추가 인증하기
모두 정상적으로 적용 완료했는데, 카카오톡 채널 채팅이 시작되지 않는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1:1 채팅 사용을 위해 관리자 추가인증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래 절차를 참고해 인증을 완료해 주세요.
카카오톡채널 관리자센터 접속 후 왼쪽 메뉴에서 [1:1 채팅 > 채팅목록]을 클릭합니다.
관리자 추가인증 버튼을 클릭합니다.
카카오톡으로 전달 받은 인증번호를 입력해 관리자 추가인증을 완료합니다.
이 도움말에서는 네이버 쇼핑 DB URL 등록방법을 설명합니다. 등록을 진행하기에 앞서 다음 주의사항을 확인 후 진행해주시길 바랍니다.
등록방법
등록완료 후
1단계: 앱 만들기
Google Play 콘솔에 접속해 새로운 앱 만들기를 시작합니다.
오른쪽 상단의 앱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과 설명을 참고해 앱 세부정보를 입력합니다.
선언 항목에 모두 동의하고, 앱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2단계: 앱 설정 시작하기
앱 출시를 위한 초기 설정을 진행합니다.
1. 앱 액세스 권한
앱 설정 항목에서 할 일 보기를 클릭합니다.
앱 콘텐츠에 관한 정보 입력 항목에서 앱 액세스 권한>을 클릭합니다.
2. 광고
앱 콘텐츠에 관한 정보 입력 항목에서 광고>를 클릭합니다.
앱의 광고 포함여부를 선택합니다. (타사 광고 네트워크를 통해 게재되는 광고도 포함됩니다.)
3. 콘텐츠 등급
앱 콘텐츠에 관한 정보 입력 항목에서 콘텐츠 등급>을 클릭합니다.
설문지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 4번 과정에서 선택한 카테고리에 따라 앱 콘텐츠 등급 설문이 시작됩니다. 폭력성, 선정성, 비속한 표현, 불법 약물, 기타 항목에 답변합니다.
4. 타겟층
앱 콘텐츠에 관한 정보 입력 항목에서 타겟층>을 클릭합니다.
대상 연령 설정 단계에서 이 앱을 사용하는 타겟층의 연령대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선택 시 아래의 사항들에 주의해 주세요.
앱 정보 단계에서는 앱의 콘텐츠가 어린이의 관심을 유도하는지 질문합니다. 해당여부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중요: 어린이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 앱은 Google Play의 가족을 위한 앱 프로그램 참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뉴스 앱
앱 콘텐츠에 관한 정보 입력 항목에서 뉴스 앱>을 클릭합니다.
6. 코로나19 접촉자 추적 앱 및 검사 결과 공유 앱
앱 콘텐츠에 관한 정보 입력 항목에서 코로나19 접촉자 추적 앱 및 검사 결과 공유 앱>을 클릭합니다.
Google에서 앱이 코로나19 접촉자 추적 또는 이력 앱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3단계: 앱이 분류 및 표시되는 방식 관리하기
1. 앱 카테고리 선택 및 연락처 세부정보 제공
Google Play에서 앱이 구성되는 방법 및 사용자가 나에게 연락을 취할 방법을 관리합니다. *가 표시된 항목은 필수입니다.
앱 콘텐츠에 관한 정보 입력 항목에서 앱 카테고리 선택 및 연락처 세부정보 제공>을 클릭합니다.
앱 또는 게임 항목에서 앱을 선택합니다.
2. 스토어 등록정보 설정
앱 세부정보를 작성하고, 사용자가 내 앱에 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도록 그래픽을 추가합니다.
앱 콘텐츠에 관한 정보 입력 항목에서 스토어 등록정보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래픽 항목에서 Google Play에 표시될 앱 아이콘과 그래픽 이미지, 스크린샷을 추가합니다. 적절한 스크린샷에 관한 형식, 크기, 비율은 업로드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세요.
4단계: 개인정보처리방침 등록하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기기 데이터를 어떻게 취급하는지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추가합니다.
수행할 작업 목록에서 개인정보처리방침 항목의 시작을 클릭합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URL을 입력합니다. (예: https://내도메인/?mode=privacy)
5단계: 데이터 보안 설문 진행하기
앱 개발자는 앱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앱에서 취급하는 개인 정보, 보안, 데이터에 관해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앱을 설치하도록 앱 보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Google 안드로이드 앱 데이터 보안 설문 시작하기 도움말 2단계부터 상세한 설명 및 자료를 참고해 데이터 보안 설문을 진행해 주세요.
6단계: Google Play에 앱 출시하기
앱을 출시할 국가 및 지역을 선택하고, 앱 파일을 등록한 다음 Google Play에 앱을 게시합니다.
1. 국가/지역 선택하기
대시보드에서 마우스 휠 스크롤을 내려 Google Play에 앱 게시 항목으로 이동해 할 일 보기를 클릭합니다.
출시할 국가(들)을 선택합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국가명 상단의 국가/지역을 선택해 모든 국가를 지정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국가/지역 추가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로덕션 메뉴로 이동하게 됩니다.
2. 새 프로덕션 버전 만들기 및 출시하기
App Bundle 항목에 업로드를 클릭합니다.
내 PC에서 ABB 파일을 선택해 업로드합니다.
버전 세부정보 항목에 출시명을 입력합니다.
7단계: 앱 등록 완료
위 6단계까지 모두 완료하면 약 3~5일에 걸쳐 Google에서 앱을 검토합니다. Google에서 앱을 검토하는 기간에는 게시 보류 중으로 표시되며, 검토가 완료되면 Google Play 스토어에 앱이 표시됩니다.
Google Play에 Android 앱을 게시하기 앞서 Google Play 개발자 계정이 필요합니다. 아직 개발자 계정을 만들지 않았다면 이 도움말에 따라 Google 개발자 계정을 생성해 주세요.
참고: Google 개발자 계정을 만드는 과정에서 미화 25달러의 등록 수수료를 최초 1회 결제해야 합니다. 계정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유효한 신분증을 사용하여 본인인증을 진행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등록 수수료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시작에 앞서
Google 개발자 계정을 만들기 위해선 Google 계정이 필요합니다. Google 계정이 없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새로운 Google 계정을 만들어 주세요. 이미 Google 계정이 있다면 이 단계는 건너 뛰어도 무방합니다.
Google 계정 만들기
등록방법
이 도움말에서는 3단계에 걸쳐 Google Play 개발자 계정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1단계: Google Play 개발자 계정 만들기
Google 계정을 사용해서 개발자 계정을 만듭니다.
개인 혹은 조직 또는 비즈니스에서 시작하기 링크를 클릭합니다.
정보 제공 항목에서 각 항목을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연락처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는 + 기호, 국가 코드(82), 지역 번호를 포함해 - 를 제외하고 작성합니다.
연락처 이메일 주소 항목에서 입력한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이메일 주소 인증을 클릭합니다.
연락처 전화번호 항목에서 입력한 전화번호 확인이 필요합니다. 인증할 수단을 문자 메시지 받기 또는 전화 요청 중 하나로 선택하고, 전화번호 확인을 클릭 후 연락처 인증을 완료하세요.
2단계: 등록 수수료 결제하기
등록 수수료(미화 25달러)는 1회만 청구되며 아래 목록에 있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3단계: Google Play 콘솔에서 앱 등록하기
Google 개발자 계정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Play 콘솔로 이동 버튼을 클릭해 Google Play 콘솔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제 모바일 앱을 구글 플레이에 등록하기 도움말에 따라 내 앱을 Google Play 스토어에 등록해 보세요.